요근래 중간관리자의 직급으로 올라가려하니 조직생활이 부쩍 중요해졌습니다.

조직분위기를 유연하게 해줘야하고 그것과 같이 성과도 창출해야하고 야근도 해야하고..

제 개인 시간이 많이 줄어듦을 느낍니다.

 

내가 원래 이런걸 싫어했었나.. 싶은 순간 문득

"밀레니얼 세대"라는 단어가 머릿속에 떠올랐습니다.

 

한번도 제가 밀레니얼 세대라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는데

여러 글을 읽어보니 저도 밀레니얼 세대가 맞더군요.

 

저를 통해서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을 한 번 풀어보았습니다.

키워드는 "개인적인" 그리고 "자기 주도적인"입니다.

 

1. 스스로의 성장이 가장 중요하다.

  저는 대졸 후 IT Big3사 중 한 곳에 입사했습니다.

  3년 반을 재직하며 차세대를 개발단계부터 들어가 안정화까지 3번을 수행했습니다.

  1년에 일주일정도 씩만 쉰 것 같습니다.

  동기들은 수준낮은 워라밸과 부조리한 사업수행 때문에 퇴사도 많이했지만 저는 즐거웠습니다.

  그 당시에 저는 조직/주변평가를 위해서 일한다고 생각했고 회사에서 평가도 잘 받았습니다

 

  그런데 돌아보니 조직 및 평가를 위해서라기 보다는

  오로지 제 기준의 도메인지식 + 개발력 등의 목표와 달성 시 성취감 때문이었더군요. ^^

  3년 반 일하고 사실상 개발적 측면에서는 더 이상 배울 것이 없어 퇴사했습니다.

   

  저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개인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환경 바로 그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2. 회사에서 내가 원하는 커리어의 일을 하고 싶다.

  회사에서는 제가 원하는 일을 해보고 싶습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조직/인력 관리 측면에서 개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업무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사실 많은 흥미가 생기지 않습니다.

 

  만약 회사의 업무가 제 개인적 성장과 합치한다면 아침부터 밤샐 때 까지 회사업무를 할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내가 하고 싶은, 내가 관심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회사에서 그렇게 일할 수 있다면 많이 행복할 것 같습니다.

 

 3. 수평적 문화를 좋아한다.

  최근 Start-Up들은 수평적 문화가 기본이지만 아직 공기업 및 대기업 들은 Top-Down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Top-Down은 장점이 없습니다.

  Top-Down 조직의 특성은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해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이 소수인 체제입니다.

 

  저는 수평적 문화를 좋아고

  단/장기 전략 등을 결정할 때 모든 정보를 평등하게 공유하고 지혜를 합치는

  수평적 관계를 통해 내가 결정한 일에 대해 주도적으로 일한다는 생각을 가지길 원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대기업은 오너회사이고 이런 문화는 보통 Start-Up에서 유효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색이란?  (0) 2020.04.19
COViD 19로 보는 대한민국의 도전과 응전  (0) 2020.03.21

사색이란

생각 중인 주제의 핵심 키워드를

의식의 흐름속에서 (놓치지 말고) 추출해

나의 경험, 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 보고

자신만의 관점과 논리로 의견을 수립하는 행위

COViD 19로 인한 팬데믹(Pandemic)이 선언되고

세계 각국은 가용할 수 있는 의료체계를 총동원하여 전염병 퇴치를 위해 힘을 쓰고 있습니다.

그 와중 우리나라는 진단검사 -> 자가격리 -> 확진자 검출 -> 치료 -> 사후관리로 이루어진

철저한 방역체계를 모범적으로 수행하여 세계에서 가장 의료/방역체계가 우수한 나라로 뽑히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인류의 위기는 인류문명 진보의 동인이 되었으며

정치, 역사, 경제, 과학 모든 분야에서 G7국가가 중심이 되어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그런데 이번 COViD 19에 대응하는 방식을 통해

대한민국은 의료/방역 분야에 새로운 신문명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번 글은 COViD 19로 보는 대한민국의 도전과 응전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COViD 19로 보는 대한민국의 도전과 응전]

문명의 탄생과 발전은 항상 새로운 환경에의 도전과 응전의 역사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아놀드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으며 핵심 부분을 인용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필요가 발명의 어머니라면 발명의 아버지는 끈기, 즉 손실을 줄이고 편히 생활할 수 있는 곳으로

옮겨가기보다 끝까지 불리한 조건 밑에서 살아가야겠다고 품는 결의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진보의 역설적 진리다.

네 번 되풀이된 빙하시대 특징인 기후와 동식물의 성쇠기에 우리가 아는 문명이 시작되었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울창한 숲이 말라죽어 갈 때 간신히 달아난 영장류는 자연법칙의 지배를 받는 것 중에서도 가장

으뜸가는 지위를 확보했고 마침내는 자연을 정복하기 시작했다.

어려움을 뚫고 나가 결국 인간이 된 이들은 이미 앉을 나무조차 없어진 그 자리에 버티고 있던 무리

나무 열매가 익지 않을 때 대신 고기를 먹던 무리

햇빛을 따라 쫒아가는 대신 불과 옷을 만든 무리

살던 곳에 견고한 방벽을 쌓아올리고 아이들을 훈련하여 비합리적으로 보이던 세계의 합리성을 입증해보인 무리였다."

 

따라서 주역인 인간이 겪는 시련의 첫 단계는 동적인 행동을 통한 음에서 양으로의 이행이다.

동적인 행동은 악마의 유혹을 받는 신의 피조물이 행하는 것으로, 이것은 신으로 하여금 또 다시 창조 활동을 개시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진보에는 지불해야하는 대가가 따른다. 그리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 것은 신이 아니라 신의 종, 즉 씨앗을 뿌리는 인간인 것이다.

수많은 우여곡절을 거친 뒤에 마침내 승리를 얻어낸 수난자는 개척자로서의 임무를 수행한다.

-----------------------------------------------------------------------------------------------------------------------------------

 

COViD 19는 인류에게 새로운 도전을 주었으며

우리나라는 개척자로서의 임무를 수행함으로 전세계의 찬사를 얻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른 선진국들은 이러한 도전에 대해서 어떤 응전을 하고 있을까요?

과연 인류의 발전을 위해서 이에 합당한 대응을 하고 있을까요?

현재까지만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선진국과의 대응 비교

위와 같은 선진국 대응을 역사의 연구를 통해 인용하자면

본래 열대의 거주지가 고향인 야만족이 추운 북쪽으로 이동 했을 때

자신의 고향을 등지고 떠나오는 것을 후회하며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 다시 열대의 거주지에서 생활하는 발전없는 야만족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추운 북쪽에 적응하며

식량을 위해 고기를 잡아 저장하고, 보온을 위해 가죽을 구하는 발전의 역사라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선진국의 대응 한계 원인은 정치, 시민의식, 의료체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현재 선진국의 개념은 다방면의 발전이 아닌 특정분야(경제, 과학, 정치 등)에 한정 되어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 모든 것들이 융합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이상적인 선진국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우리 나라의 COViD 19의 대응 모델을 나타냅니다.

 

 

대한민국 COViD 19 대응 모델

이번 COViD 19로 인한 대한민국의 대응 모델은 많은 국가에서 부러워하고 있으며

특히 드라이브스루 검진 등은 각국에서 즉각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COViD 19의 도전에 대한 인류 응전의 신문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COViD 19가 종식되는 시점에는 대한민국이 새로운 G7의 일원으로 들어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통해보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  (0) 2020.08.30
사색이란?  (0) 2020.04.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