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0.02.01에 120회 정보처리기술사 시험이 치뤄졌습니다.

제가 취득한 정보관리기술사를 살펴보면

1교시는 난이도가 꽤 어려웠으며

2,3,4교시는 그래도 점수를 가져갈 수 있는 한교시당 2문제 이상씩은 있었습니다.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는 전 교시 많이 어려웠습니다.(난이도가 역대급 이더군요.. ^^)

 

출제 흐름을 살펴보면

2019년 117, 118, 119회의 출제경향은

"정보처리"기본 이론을 중심으로 신기술의 기술요소 및 도입 고려사항을 조합하여 출제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020년 120회의 출제경향은

"제 4차산업혁명"기술로 중심축이 이동한 경향을 보여주었습니다.

실제 Cloud, AI, BlockChain, BigData등의 기술에 대한 실무적 관점의 답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많은 학원들이 120회를 출제의도를 분석한 뒤, 121회의 시험을 예측하며 "신기술"중심으로

실무적 관점을 어떻게 답안지에 녹일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 같더군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4차산업혁명 신기술은 기존 기술의 발전 결과입니다.

Cloud를 명확히 이해하고 Mig.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초 이론인 HA, FTS, 서버 동기화, 보안 등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Cloud 도입 시 성능적, 보안적 고려요소를 어렵지 않게 생각 그리고 학습할 수 있게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것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할까요?

저는 기술사 공부의 핵심은 아래라고 생각합니다.

 

1. 기본 토픽을 충실하게 공부하십시오.

 - 위 Cloud 사례에서 말씀드렸듯이 기본토픽을 공부해야 신기술에 대한 학습시 확장력, 응용력이 가미가 됩니다.

 - 답안을 작성할 때도 1단락에 발전과정, 배경, 이 토픽의 출제목적 등을 다양하게 작성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됩니다.

 - 문제 출제 패턴에 대해서 크게 유념하지 마십시오.

 - 118회의 정보관리 문제는 묻는 것이 너무 많았지만, 119회는 다시 예전으로 회귀 했습니다.

 - 117회의 블록체인 문제가 다수 출제되어서 신기술 기반의 출제로 전환되었나 싶었지만

   118, 119회는 기본 이론 기반의 출제 유형이 지속되었습니다.

 - 문제 출제유형은 출제자에 따라서 토픽 비중 및 스타일이 달라진다는 점을 명심하십시오.

 - 폼은 일시적이지만 클래스는 영원합니다.

 

2. 자신만의 공부하기

 - 기본 토픽을 기준으로 신기술로 확장해가는 공부를 Step By Step으로 해야 합니다.

 - 출제 경향에 휩쓸리지 말고 자신이 기본을 명확히 알고 있는지 확인하면서 공부하십시오.

 - 메타인지법, 문답법 모두 자신이 무엇을 모르고 있는 지 확인하는 것에 중심을 두는 학습법입니다.

 - 기술사 공부는 운이 좋게 출제 추세기반으로 공부한다고 합격할 수 없습니다.

 - 자신의 수준에 따라 발전적 공부를 해나간다면 분명 합격할 수 있습니다.

 

3. 기출문제 기반으로 공부하기

 - 전자과, 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등 "정보처리"관련 학과의 기본 이론에 더해서

 - 기본 토픽이 되는 영역은 "기출문제"입니다.

 - 출제자들은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출제 가능한 문제, 출제 불가능한 문제를 파악합니다.

 - 수험생들은 기출을 기반으로 현재 이슈가 되고, 모의고사에는 많이 나오고 있으나

   실제 기출이 안된 문제를 찾아서 출제예상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쓰고 보니 모두가 "기본"에 집중해서 공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모든 공부는 기본이 우선, 확장은 기본을 중심으로 이루어 진다는 것은 불변의 진리인 것 같습니다.

모두 건승하십시오 ^^

+ Recent posts